[ 약함 ](고후 12:7-10)
사도 바울은 지식과 가문과 부를 겸비한 최고의 엘리트입니다. 자신은 율법의 의로 흠이 없다고 자랑했지만, 예수님을 만나자 180도 바뀌게 됩니다. 그런 그에게 육체의 가시가 있었습니다. 하나님께 세 번 기도를 드렸지만,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해석이 달라집니다. 육체의 가시를 기뻐하며 자랑하게 된 것입니다. 약함이 은혜요, 능력이요, 축복임을 깨닫게 되지 않았습니까?
약함은 교만이 머리를 들고 일어서지 못하게 하는 안전장치입니다.
나는 한계가 있는 언약한 인간임을 깨달을 때, 비로소 하나님을 만날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 사도 바울은 놀라운 기사와 이적을 행했으며, 셋째 하늘인 낙원에 갔다 온 사람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교만이 머리를 들고 일어서지 못하게 하는 안전장치로 육체의 가시를 주신 것입니다. 내가 연약한 존재임을 깨달을 때에 하나님께서 나를 강하게 붙들어 주십니다. 그래서 교만한 자들에게 우리를 통해 그들을 부끄럽게 하시겠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어리석고 약한 우리들을 지혜롭고 강하게 사용하시겠다고 말입니다. 우리는 늘 하나님 앞에서 겸손해야 합니다. 우리의 약함이 능력이 되고, 축복이 되기 때문입니다.
약함은 전능하신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함으로 기도드리는 것입니다.
사도 바울은 자신을 아프게 하는 육체의 가시를 경험하면서 하나님께 기도드립니다. 그것은 전능하신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는 것,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는 세 번이나 이 문제로 하나님께 기도드렸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음성은 은혜가 족하다고 말씀하시지 않았습니까? 기도의 사람인 사도 바울은 하나님의 응답을 겸손하게 받아들입니다. 그는 믿음의 생각으로, 하나님의 음성을 받아들일 수 있는 분별력이 있었던 것입니다.
약함은 예수그리스도의 능력이 머무는 통로입니다.
하나님의 일은 사람의 지혜나 힘으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직 그리스도의 능력으로 감당할 때에 기쁨도 있으며, 승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나의 약함을 인정하고, 겸손하게 하나님을 의지해야 합니다. 그럴 때에 그리스도의 능력이 내 안에 머물게 되지 않겠습니까? 자신이 연약할 때, 그리스도께서 강하게 역사하심을 깨달은 바울은 기뻐하며 자랑합니다. 자만하지 않게 몸이 약한 것! 예수님 때문에 모욕을 당하는 것! 복음 때문에 궁핍해지는 것! 전도하다가 핍박을 받는 것! 사명으로 살면서 어려움을 당하는 것!을 말입니다. 내가 약하고 주님께서 강하실 때, 우리는 온전히 주님의 뜻을 이룰 수 있게 됩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먼저 내가 한계가 있는 연약한 인간임을 깨닫고 인정하십시오. 전능하신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함으로 기도드립시오. 그리하여 나의 약함을 강함으로 바꾸시는 예수그리스도의 능력이 머무는 통로가 되시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